양말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2014. 11. 1. 16:32지혜롭게,/상식

 

 

 

 

인간이 양말을 신는 이유는 의외로 많다.

1.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2. 보온을 위하여

3. 패션을 보여주기 위하여

4. 발 건강을 위하여 (발가락 양말 등)

5. 땀 흡수를 위하여

등등.

 

일상 속 필수품을 넘어서 이제는 자신의 패션 센스를 보여주는 아이템으로도 활용되는 양말!

 

양말 바이어를 시작하며 업체의 도움으로 양말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견학했다 :)

(사실 벌써 양말 바이어를 시작한지도 어언 7개월. 아직은 파트장님의 일을 도와 드리는 서브바이어. 공장을 견학한지도 세 달이 훌쩍 넘었다ㅜ.ㅜ)

 

 

 

 

1. 디자인 하기

업체에서는 바이어가 제안하는 컨셉 혹은 시장의 유행을 파악하여 양말의 컨셉을 정하고 양말을 디자인 한다.

양말의 형태(기종/목길이)와 패턴을 디자인 한다.

아래와 같이 디자이너가 캐드 작업을 한다.

 

 

 

 

 

 

 

2. Sample 의뢰서 만들기 / 소요량 분석

디자이너는 자신이 디자인 한 양말의 샘플을 내기 위해 공장에 Sample 의뢰서를 만든다.

기종/침수/원사 등을 적는다.

오더가 확정된 스타일의 양말의 미봉(컷팅/봉조가 되지 않은 상태의 양말)을 준비하여

원사의 종류 및 색상별로1족당의 소요량을 분석한다. 오더 진행 시 원사의 수량을 준비하기 위한 사전 작업니다.

 

 

 

 

 

3. 양말 편직 하기

***사전 준비 : 원사(실) 준비

일반적으로 면(겉실), 스판/나일론(속실), 폴리에스터(패턴사), 고무(폴리우레탄) 등이 사용 됨

원사를 사용하여 양말 편직기 자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양말을 편직한다.

양말의 형태 및 특성에 따라 양말 편직기계의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다.

(예 : 일반양말과 스포츠양말이 다르고, 아동용양말의 경우 사이즈에 따라 기계가 다름)

 

*양말의 형태에 따른 기계

 양말의 형태

편직 기계 

특징 

 갑종

 링크스

 조직적인 패턴의 양말 (꽈배기, 골 등) - 마감을 위에서

 을종

 컴퓨터

 다양한 무늬가 들어가는 양말 - 마감을 안에서

 후다/쟈가드

 쟈가드

 몸체 색상이 2가지인 경우

 파일

 컴퓨터/링크스

 타올같은 조직으로 이루어져 두툼. 주로 스포츠양말

 

 

 

양말을 짜기 위해 컴퓨터로 의뢰서에 맞게 작업을 한다.

 

 

이게 양말 짜는 (편직하는) 기계이다.

컴퓨터로 작업한 내용을 담은 디스크를 넣으면

그에 맞게 양말이 편직 된다.

 

 

양말 편직 기계에는 여러 실타래가 걸려 있다.

한 기계에서는 한 양말의 디자인만 짤 수 있다.

다른 디자인을 짜기 위해서는 실타래를 바꿔준다.

 

 

양말이 편직 되어 저 구멍에서 툭 떨어진다.

양말이 처음 나오면 봉제가 되지 않은 상태다.

즉, 양말의 형태로 나오지 않고 발가락 부분이 메워지지 않은 상태이다.

 

 

 

 

4. 자수넣기 (선택사항)

요즘에는 자수가 있는 양말이 많지는 않지만, 정장 양말 등에 보면 자수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자수가 들어가면 당연히 더 비싸다.

 

 

자수 넣는 모습

 

 

 

 

 

5. 양말 봉조

양말이 편직 되면 앞부분이 메워지지 않는다. 이제는 그 부분을 메워줌으로써 양말의 형태를 만드는 것이다.

기계로 하기도 하고(기계봉조), 사람이 직접 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를 '손봉조'라고 하는 것이다

마트 등 양말 파는 곳에 가보면 '손봉조'라고 택이 달려 있는 양말들이 있는데 그런 의미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봉조 양말이 값이 더 나가며, 착용감이 우수하다.

 

 

 

 

 

 

6. 가공 (양말형태 갖추기)

1) 세팅 : 발 모야의 모형(가다)에 양말을 하나씩 끼워 넣고 스팀기계에 넣으면 쫙 펴진 채로 양말이 다려져 나온다.

2) 작석 : 세팅 공정 후 양말의 짝을 맞추며, 불량을 골라내는 공정

3) 미싱 : 브랜드별 택을 양말과 결합

4) 포장 : 폴리백 작업 빛 박스 입수 등의 마무리 작업

 

 

 

 

7. 가공 (택/포장)

번들 양말일 경우 번들로 묶고, 택을 달고, 폴리백에 넣어 포장 작업 등을 한다.

 

 

 

 

8. 보관

박스에 담겨진 양말들이 창고에 보관된다.

발주가 뜨면 박스채로 상품이 보내 진다.

일반적으로 대형마트에 유통 되는 양말의 경우 한 박스에 5~30개가 들어 간다. 100 이상 일 때도 있다.

 

 

 

 

 

 

양말 절대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다.ㅜㅜ

공장은 덥고, 먼지날리고, 시끄럽고 생각보다 열악하다.

직원들도 대부분 나이 지긋하신 분이거나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다.

 

이렇게 만들어진 양말은 도매/소매 등 다양한 유통 경로로 들어가고 소비자가 양말을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