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1. 30. 15:36ㆍ지혜롭게,/책,영화
지/대/넓/얕
(4) 사회
1.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 개인과 사회라는 두 주체는 긴밀하게 연계 되어 있으며, 둘은 끊임 없이 갈등 상태에 놓여 있다.
- 개인주의 : 개인의 권리와 사회의 이익이 대립한다면 개인의 권리가 우선이라는 입장
사회라는 개념은 실제로 허구라고 생각한다
- 집단주의 : 개인의 권리와 사회의 이익이 대립할 때 당연히 사회의 이익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사회가 허구가 아닌 실체라고 생각함
2. 이기주의와 전체주의
- 개인주의과 극단화 되면 이기주의, 집단주의가 극단화 되면 전체주의 발생
- 이기주의 : 개인의 이익을 위해 저넻의 손해를 감수하려는 사고 방식
- 전체주의 : 국가, 전체를 위해서 개인의 손해를 감수 할 수 있다는 사고방식
- 전체주의의 탄생 배경 : 근대 자본주의 시기의 경제대공황
- 전체주의 사례 : 파시즘, 히틀러
- 전체주의는 나의 이익을 위해 강력하게 행동하지만, 나에게는 책임이 없는 이상적인 사회가 전체주의다.
개인이 전체의 비윤리적 행위에 눈감게 한다.
3. 자연권
- 천부적 권리, 즉 하늘이 부여해준 권리
- 전체의 폭력에 대해 우리가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하고 근본적인 보호막.
어떠한 경우에도 침해받을 수 없는 절대적 권리 (생명, 재산, 자유)
- 기원 : 프랑스 대혁명 당시의 인권선언에서 시작
- 국제기구의 구조 상 문제점 : 핵무기를 대량 소유한 상임이사국 5개의 만장일치제로 행동 방향이 결정 됨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상임이사국 5개의 이익이 될 때만 세계 전체의 이름으로 구체적인 행동이 일어나므로 국제기구는 정의와 윤리가
아닌 힘의 논리를 기준으로 움직인다.
4. 전체주의와 세금
- 세금은 재산권, 즉 개인의 자연권에 대한 침해가 될 수 있음
- 특히 현재의 세금 제도는 부자에게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하는 누진과세이니, 다수의 노동자의 이익을 위해
소수의 부유층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전체주읮적 폭력이라 할 수 있음
- 즉, 그동안 윤리적 담론에서 우위를 점유했던 진보의 견해는 실제로는 전체주의의 위험성을 항상 내재하고 있으며
부도덕한 주장이 될 수 있음
5. 미디어의 말
- 화용론 : 말의 내용이 아니라 그 말의 주변 상황을 생각해보는 방법
- 미디어는 화용론적 관점에서 객관적인 보도를 하지 않는다. 편집과 보도 순서의 배열을 고려하는 등의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방법을 활용해서 맥락을 통해 주관적 사고와 이념을 전달한다.
- 민주주의 체제에서 미디어는 기업의 입장을 대변한다. (광고 때문)
'지혜롭게, > 책,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미니크 로로, 심플하게 산다 _물건 (0) | 2017.02.05 |
---|---|
<지적대화를위한넓고얕은지식>_summary5. 윤리 (0) | 2017.01.30 |
인생의 가치에 따른 계획 (0) | 2017.01.27 |
<지적대화를위한넓고얕은지식>_summary3. 정치 (0) | 2017.01.26 |
<지적대화를위한넓고얕은지식>_summary2. 경제 (0) | 2017.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