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1. 30. 16:18ㆍ지혜롭게,/책,영화
지/대/넓/얕
(5) 윤리
1. 윤리의 정의
- 명제 :
사실명제 : -이다. (과학) / 참과거짓 구분 가능
당위명제 : -해야 한다. (윤리) / 참과거짓 구분 불가능
- 윤리란 사람이 따라야 할 도리로, 당위명제에 대한 탐구를 대상으로 한다.
2. 의무론과 목적론
- 의무론 : 의무나 도덕 법칙을 준수하는 행위를 윤리로 봄 (예: 종교인)
- 목적론 : 이익을 창출하는 행위를 윤리로 봄 (예 : 안중근)
3. 의무론과 칸트의 정언명법
- 정언명법 : 네 의지의 준칙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로 타당할 수 있도록 행위하라
네가 개인적으로 하려는 일이 동시에 모든 사람이 해도 괜찮은 일인지 생각하고 행동하라
- 예 : 내가 하려는 특정 행위를 사회 구성원 전체가 동시에 한다고 가정해보는 것.
만약 그래도 사회가 붕괴하지 않는다면 그 행위는 도덕적 행위가 되는 것이다.
4. 목적론과 공리주의
- 공리주의는 19세기 영국을 중심으로 전개된 윤리적 견해로 벤담과 밀이 대표적
- 윤리의 궁극적 목표로 개인과 사회의 이익에 초점을 맞춘 사상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즉, 한마디로 윤리적인 것이란 가장 많은 사람에게 가장 행복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
단적으로, 결과가 최대의 이익을 산출하면 되는 것
- 존 스튜어트 밀은 질적 공리주의를 통해 쾌락과 행복에도 질적인 차이가 있음을 밝힘
5. 하이에크와 롤즈
- 빈부격차 : 빈부격차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현상
다만, 빈부격차의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보는지 해결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볼 것인지를 결정해야 함
- 하이에크 : 시장에서의 경쟁을 하나의 게임으로 생각
지식이나 기술이 각기 다른 게임의 참가자들이 정당한 규칙 아래서 경쟁하고 그럼으로써 승자와 패자가 생겼다면
그 결과는 정당하다는 것이 그의 기본 전제
사회에서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고 있는지, 절차가 준수되고 있는지, 위법 행위는 없는지를 국가가 감시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봄
- 롤즈 : 개인의 특수한 상황을 벗어났을 때, 사회 전체가 합리적으로 합의할 수 있는 분배 방식이 무엇인지 생각.
최소수혜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는 사회가 사실은 구성원 전체가 동의할 수 있는 사회
정의롭고 윤리적인 사회를 만들고자 한다면 개개인들이 납득하고 합의할 수 있는 결과를 고려해서, 국가가 적극적으로 시장에
개입해 재분배를 추진해야 함
'지혜롭게, > 책,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미니크 로로, 심플하게 산다 _몸 (0) | 2017.02.08 |
---|---|
도미니크 로로, 심플하게 산다 _물건 (0) | 2017.02.05 |
<지적대화를위한넓고얕은지식>_summary4. 사회 (0) | 2017.01.30 |
인생의 가치에 따른 계획 (0) | 2017.01.27 |
<지적대화를위한넓고얕은지식>_summary3. 정치 (0) | 2017.01.26 |